전국에 천문학과 정원이 얼마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듣고 검색해 보았다. 연세대와 경희대에 있다는 건 알고 있어서 전국 대학에 다 있는 줄 알았다. 그런데 2018년 기준으로는 7개 대학밖에 없었다고 한다.
서울대학교 천문학과(http://astro.snu.ac.kr/)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http://galaxy.yonsei.ac.kr/)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http://space.khu.ac.kr/)
충남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http://astro1.chungnam.ac.kr/)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http://ast.chungbuk.ac.kr/)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http://ha_nl.kyungpook.ac.kr/ )
세종대학교 천문우주학과(http://dasan.sejong.ac.kr/~obs/)
나무위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해외의 천문학과가 있다.
하버드 대학교, 예일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UC 버클리처럼 별도의 천문학 혹은 천체물리학 전공 및 학과가 존재하는 경우와 옥스퍼드 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스탠퍼드 대학교, ETH 취리히처럼 물리학과 소속 세부전공 혹은 선택과목으로 존재하는 경우로 나뉜다. 대개 천문학과가 따로 있는 쪽의 연구진 규모가 더 크지만, 옥스퍼드 대학교처럼 천문학 연구자가 매우 많음에도 불구하고 물리학과 산하 세부전공 및 분과로 편성된 예외적인 경우도 많다. UCLA처럼 천체물리학 전공 자체는 따로 존재하지만 학과는 서울대학교, 세종대학교와 비슷한 물리천문학과 체제로 조직되어 있는 경우도 흔하다.
그래도 대체로 기초학문이 발전한 영미권이나 유럽의 대부분 상위권 종합대학에는 어떤 형태로든 존재하는 편이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의 경우는 아예 물리학과, 천문학과, 지구환경과학과, 지질학과, 행성과학과가 다 따로 있을 정도.[26]. 다소 특이한 경우로 케임브리지 대학교 천문학과는 물리학과와도 일부 커리큘럼을 공유하지만 전반적인 특징 및 많은 교과목은 오히려 수학과와 많이 겹치는데, 이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과에서도 물리학(특히 이론물리학)을 많이 가르치고 연구하기 때문이다.
서울대학교 천문학과 약 20명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약 28명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 약 40명
충남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 약 38명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약 33명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약 26명
세종대학교 천문우주학과 약 30명
수시, 정시 따르면 이 정도로 200명 안팎이라고 한다. 각 대학에서 물리천문학부로 합쳐 있어서 천문학 전공자 수가 정확하지 않지만 이 정도 수준에서 진행된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천문학과가 이렇게 적은 줄 알았다면 학부 때 천문학을 선택했어야 했던 것 같다.
전공하고 싶은 학과가 있다는 건 축복받은 일이다. 대충 대학을 골라서 가지 않고 이렇게 천문학과가 있는 대학을 찾아서 가는 열심이라면 무슨 일을 하든 잘될 것 같다. Bless you!
우주 탐사의 역사와 스페이스X (0) | 2023.08.05 |
---|---|
화성 이주 처음으로 기획한 사람은 일론 머스크가 아니다! (0) | 2023.08.05 |
행성 탐사 로봇과 기술의 역할 (0) | 2023.06.28 |
사진 기술을 천문학에 도입한 사람 (0) | 2023.06.18 |
별자리 생일과 특징 소개 (0) | 2023.06.11 |
댓글 영역